2025년에도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지원하는 무료 건강검진 제도가 유지됩니다. 하지만 “나는 건강검진 대상자인가?”를 정확히 모르는 분들이 많죠. 이번 글에서는 PC와 모바일 모두 가능한 건강검진 대상자 조회 방법을 단계별로 정리했습니다.
📑 목차
✅ 건강검진 대상자 조회 방법 개요
건강검진 대상자 조회 방법은 국민건강보험공단(NHIS) 시스템을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. 검진 대상자는 직장가입자, 지역가입자, 피부양자, 만 40세 이상 비가입자(일부)까지 포함됩니다.
조회는 크게 두 가지 방식으로 가능합니다.
- ① PC: 국민건강보험 공식 홈페이지 접속 → 개인 로그인 → 검진 대상 확인
- ② 모바일: ‘The건강보험’ 앱 설치 → 인증 후 건강검진 메뉴 선택
두 방법 모두 본인인증이 필요하며, 건강검진 대상자라면 ‘올해 수검 가능’ 문구가 표시됩니다.
✅ 국민건강보험 홈페이지 조회 절차
가장 정확한 건강검진 대상자 조회 방법은 국민건강보험공단 공식 홈페이지(www.nhis.or.kr)를 이용하는 것입니다. 다음은 단계별 절차입니다.
- ① 홈페이지 접속 → 메인 상단 ‘건강검진’ 메뉴 클릭
- ② 공동인증서 또는 간편인증으로 로그인
- ③ ‘검진 대상조회’ 클릭
- ④ 조회 결과에서 ‘일반건강검진’, ‘암검진’ 대상 여부 확인
결과에는 검진 가능 기간(예: 2025.01.01~2025.12.31)과 함께 무료 검진 항목이 표시됩니다.
항목 | 설명 |
---|---|
일반건강검진 | 만 20세 이상, 2년 주기 (홀짝년 구분) |
암검진 | 위, 대장, 유방, 자궁경부, 간암, 폐암 등 |
직장가입자·피부양자 | 공단 자동선정 (별도 신청 불필요) |
✅ 모바일 ‘The건강보험’ 앱으로 조회하는 방법
요즘은 PC보다 모바일 건강검진 대상자 조회 방법이 훨씬 간편합니다. 국민건강보험공단 공식 앱인 ‘The건강보험’을 통해 다음과 같이 확인할 수 있습니다.
- ① 앱스토어 또는 플레이스토어에서 ‘The건강보험’ 설치
- ② 본인인증(간편인증, 공동인증서 등) 진행
- ③ 메인화면 → 건강검진 메뉴 선택
- ④ ‘건강검진 대상자 조회’ 버튼 클릭
결과창에 ‘2025년 일반검진 대상자입니다’ 또는 ‘해당 없음’ 문구가 표시됩니다. 또한 바로 하단에서 ‘검진 예약 가능한 병원’ 목록도 연결되어 있어 편리합니다.
✅ 직장인·지역가입자별 조회 차이
건강검진 대상자 조회 방법은 가입자 유형에 따라 약간 다릅니다.
- 직장가입자: 회사에서 건강검진 일정 통보 (대부분 단체예약)
- 지역가입자: 공단에서 우편·문자 안내 발송
- 피부양자: 가족 대표가입자 정보 기준으로 조회
만약 안내문을 받지 못했다면, 공단 고객센터(1577-1000)나 홈페이지에서 직접 조회하면 됩니다. 특히 가족 명의 보험에 등록된 경우, 본인 명의 인증으로 별도 확인이 가능합니다.
✅ 건강검진 대상자 조회 후 예약하는 법
건강검진 대상자 조회 방법으로 본인이 대상임을 확인했다면, 다음 단계는 검진 예약입니다. 예약은 국민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, 모바일 앱, 또는 지정 병원 전화로 가능합니다.
- ① 조회 후 검진기관 선택 → ‘검진기관 찾기’ 메뉴 클릭
- ② 지역·병원명으로 검색
- ③ 병원에 전화 또는 온라인 예약
- ④ 검진 전날 금식·준비사항 확인 문자 수신
검진비는 공단이 전액 또는 일부 부담하며, 일부 선택검사(초음파·CT 등)는 본인부담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.
이상으로 건강검진 대상자 조회 방법을 정리했습니다. 국민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나 앱을 통해 간단히 확인할 수 있으니, 올해 대상이라면 미루지 말고 바로 예약하세요. 건강은 조기 발견이 가장 큰 예방입니다.